환갑 잔치 나이 몇살에 하나요

생일은 해마다 특별하지만 환갑을 맞이하는 해는 더욱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환갑에는 환갑 잔치를 열어서 많은 사람들의 축하를 받거나 여행을 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평소와 다른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려면 환갑 잔치 나이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요. 생각보다 환갑 나이를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환갑이란 회갑이라고도 하며, 한국식 세는 나이로 61세, 만 나이로는 60세를 뜻합니다. 태어난 해의 간지가 60년만에 돌아오는 해라서 회갑이라는 표현을 쓰며, 이 특별한 해를 기념하기 위해 환갑 잔치를 여는 전통이 있습니다. 요즘은 환갑도 청춘이라고 말하기 때문에 예전처럼 성대하게 잔치를 치르지는 않습니다. 과거에는 환갑이면 장수를 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가족과 이웃이 모여 축하하고 건강을 원하는 잔치를 벌였습니다. 지금은 가족끼리 외식을 하거나 여행을 함께 가는 것으로 환갑 잔치를 대신하는 분위기입니다. 환갑 잔치 나이 몇살 칠순이나 팔순, 구순 잔치 나이가 70세, 80세, 90세라서 환갑 나이를 60세로 아는 분들이 있습니다. 끝자리가 0으로 맞춰줘야 할 것 같지만 환갑은 61세 입니다. 환갑 나이를 알기 앞서 어르신들의 기념일은 만나이가 아닌 한국식 세는 나이를 사용하여 계산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1살로 시작해, 해가 바뀔 때마다 (1월 1일) 한 살씩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한국 세는 나이 계산법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 1 = 한국식 나이, 어른신 기념일 나이 이를 기억해두지 않으면 나이 계산하는 것이 헷갈리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만나이보다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한국식 나이 계산법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환갑 나이 61세인 이유 칠순, 팔순, 구순처럼 끝자리가 0으로 끝나지 않는 이유를 궁금해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는 세는 나이와 갑자 때문입니다. 한국의 세는 나이를 기준으로 육십갑자가 한 바퀴 돈, 다음 해가 환갑인데 이를 계산하면 61세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