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위치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요즘은 추석 차례상을 차리지 않거나 축소하는 가정이 많은데 저희 집처럼 여전히 추석 차례상 차리기를 하는 집도 있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은 생각보다 까다롭기 때문에 미리 알아 두는 것이 좋은데 사는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차리는 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누가 맞고 틀리다라고 단정 짓긴 어렵지만 기본적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은 알아야 합니다. 



추석 차례상의 일반적인 상차림은 5열입니다. 맨 위는 신위를 놓습니다. 신위는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을 말하며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사진을 찍어 놓거나 프린트를 해 놓으면 편합니다. 지방 쓰는 법도 은근히 어렵고 시간이 걸립니다. 



신위 아래로 1열은 식사류인 밥, 국,술잔, 송편, 시접 등이 배치됩니다. 시접은 숟가락 그릇을 뜻합니다. 1열 추석 차례상 치르는 법으로 중요한 것은 방향입니다. 국그릇 밥그릇의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헷갈리는데 왼쪽이 국이고 오른쪽이 밥입니다. 산사람과 죽은사람의 밥그릇, 국 그릇 위치가 다릅니다.



2열에는 제사상의 주요리를 올립니다. 육전, 육적, 어적, 어전, 두부전 등의 구이와 전요리가 올라갑니다. 추석 제사 생선 위치 2열이며 머리가 동쪽을 향하게 놓습니다.

 

3열 제사상 차림으로 부요리인 생선탕, 고기탕 등의 탕류가 올라갑니다.


4열에는 포와 삼색나물, 김치, 간장, 밑반찬, 식혜 등이 올라갑니다.


5열에는 사과, 배, 감 등의 햇과일과 밤, 대추, 한과 등의 후식이 올라갑니다. 차례상 과일 놓는법으로 홍동백서를 지킵니다.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추석 차례상 차림그림이나 차례순서, 지방 쓰는 법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을 반드시 따라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형편에 따라 음식을 준비하고 낭비하지 않아야 합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으로 좌반우갱이나 어동육서, 조율이시 등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할 필요는 없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를 지켜서 차례상을 차리니 외워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알려드린 모든 것을 완벽하게 지키지 않아도 됩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은 집안 마다 지역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추석 차례상 차림 주의사항

조상님들은 홀수를 길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음식을 홀수로 올려야 합니다. 사과 3개, 배 1개, 약과 5개 등 음식을 홀수로 올리도록 합니다.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도 있습니다. 귀신을 쫓는 팥과 털이 있는 복숭아, 강한 향이 있는 고춧가루와 치로 끝나는 생선인 삼치, 꽁치 등은 추석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추석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은 집안마다 다릅니다. 때문에 정확한 정답은 없지만 몇 가지 상차림 순서는 외워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오른 물가에 추석 차례상 간소화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무리하기 보다 정성껏 형편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대신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차례를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