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중복 날짜 무슨 요일
무더위에 정신없이 지내다보면 초복을 깜빡하고 챙기지 못할 수 있어요. 특히나 올해 초복 날짜가 주말이라, 푹 쉬느라 보양식 먹는 것도 놓치지 쉽습니다. 그래서 2025년 중복 날짜를 알아 두어야 하는데요. 초복에 챙기지 못한 보양식을 중복 날짜에 챙기고, 남은 더위를 잘 이겨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삼복 더위 찐이네
삼복은 여름 중에서 가장 더운 시기를 뜻하는데요. 삼복 중 첫 번째 더운 날이 초복이고 가장 더운 날이 중복, 마지막 더운 날이 말복입니다. 삼복이라는 말만 들어도 숨이 턱턱 막히는데 실제로 복날이 되면 기온이 올라서 지치기 쉽습니다.
벌써부터 더위를 먹고 고생하는 분들도 많은데, 남은 삼복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잘 챙겨 드셔야 합니다. 특히 복날에는 몸의 기운을 보충해주는 보양식을 챙겨 먹는 것이 좋아요.
20205년 중복 날짜 언제
초복과 중복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어요. 때문에 초복에 보양식을 챙기지 못한 분들은 중복 날짜에 맞춰서 보양식을 챙기면 좋습니다. 보통 초복과 중복은 10일 간격이랍니다.
- 초복 : 7월 20일 일요일
- 중복 : 7월 30일 수요일
가장 더운 시기는
초복과 중복 날짜 사이에는 대서라는 절기도 있는데요. 한자로 大暑 큰 더위라는 뜻입니다. 이름부터 무시무시한 대서는 1년 중 가장 더운 날이라고도 합니다. 대서 - 중복 - 말복까지가 찐 더위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올해는 소서부터 찐 더위가 시작되었어요. 특히 서쪽 중심으로 더위가 빨리 시작되었는데요.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겹쳐져서 서쪽지역은 불볕더위가 일찍 찾아왔습니다. 제가 서쪽 지역에 살고 있는데 살면서 7월에 이렇게 더웠던 적이 있나 싶었습니다.
보통 더운 곳으로 대구를 떠올리는데 올해는 서울, 인천, 경기가 더 더웠는데요. 7월 8일 기준 서울 낮 기온이 37도 였다면 대구는 32도 였습니다. 아직 2025년 중복 날짜가 멀었는데 벌써부터 지치는 느낌이에요.
그래서 요즘은 초복 중복 말복 날짜 상관 없이 미리 보양식을 챙기는 분들도 많습니다. 중복 날짜까지 언제 기다려요 지금 당장 기운 챙겨야죠. 미리미리 기력 보충해서 20205년 중복 날짜 무사히 넘기고 말복도 무사히 넘길 수 있었으면 합니다.
25년 중복 날짜 추천 보양식
더위로 인한 피로가 쌓일 때로 쌓이고, 입맛도 없는 시기인 중복에는 어떤 음식으로 기력을 보충하는 것이 좋을까요.
삼계탕 : 기력 회복, 원기 보충하면 떠오르는 삼계탕은 닭고기, 인삼, 대추, 마늘이 들어가서 기운 보충에 탁월합니다. 요즘은 가공 제품이 잘 나와 있어서 중복 날짜 아니더라도 평소에 간편하게 챙겨먹을 수 있습니다.
닭죽 : 닭다리 잡고 뜯을 기운도 없을 때는 닭죽이 좋은데요. 닭은 잘게 찢어서 푹 끓였기 때문에 소화에 부담없으면서 영양은 보충할 수 있습니다.
장어구이 : 작년 중복에 삼계탕을 드신 분들은 25년 중복에는 장어구이 어떨까요. 스태미나 강화 음식으로 인기 있는 장어는 단백질,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서 기력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콩국수 : 이열치열보다는 이냉치열을 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삼계탕, 추어탕 대신 냉면, 콩국수, 메밀국수, 오이냉국, 초계탕을 추천해요. 작년 중복에 삼계탕 먹고 오히려 더위 먹은 것 같다는 분들도 있는데요.
더위에 이미 지친 상태에서 뜨거운 보양식을 먹으면,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시원한 음식으로 체온을 낮추고 더위를 잠재우는 것도 좋습니다. 초복에 삼계탕을 먹었다면 2025년 중복 날짜에는 시원한 콩국수나 물냉면 어떨까요.
7월에 있는 소서, 초복, 대서, 중복까지 무사히 잘 넘길 수 있도록 아래 건강 관리 팁도 실천해주세요.
1. 물은 자주 충분히 마십니다. (생수, 이온음료, 보리차 등)
2. 보양식을 챙겨 먹습니다. (삼계탕, 장어, 추어탕, 콩국수, 냉면 등)
3. 한낮에는 외출을 삼갑니다. (오전 11시 ~ 4시 사이 야외 활동 삼가)
4. 무리한 운동보다는 스트레칭을 합니다.
5. 선풍기와 에어컨을 적절히 사용하여 더위 식히기
대한민국 여름이 점점 더 뜨거워지고, 무더위가 길어지는 느낌이 들어요. 미리 더위에 대비하여 2025년 중복을 잘 이겨내시기 바랍니다.